본문 바로가기
알면 득, 모르면 손해

2026년 최저임금, 최저시급 완벽 정리

by graynotion 2025. 8. 14.
반응형

 

 

2026년 최저임금이 시급 10,320원으로 확정됐다는 사실을 알고 계시나요?
2025년보다 2.9% 인상된 수치로, 주휴수당 포함 시 월급 약 215만 원 수준이에요!
적용 대상, 실수령액, 최근 5년 변화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~!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목차

 

💡 2026년 최저임금 얼마일까?

시급 10,320원
월급 환산(209시간 기준) 2,156,880원
인상액 +290원
인상률 2.9%
적용일 2026년 1월 1일부터
적용 대상 전 업종, 전 근로자 동일 적용

👉 참고: 주 5일, 하루 8시간 근무 기준 + 주휴수당 포함

 

 

 

 

 

 

📌 적용 대상은 누구?

최저임금은 고용 형태나 국적에 관계없이 모두에게 적용됩니다.

  • 정규직, 계약직, 아르바이트, 파트타이머
  • 외국인 근로자
  • 만 15세 이상 청소년 근로자
    ※ 단, 일부 수습 기간에는 제한적 감액 가능

📌 주의! 시급 10,320원보다 낮게 계약하면 무효입니다. 반드시 이 기준을 확인하세요.

근무하실때 근로계약서 작성하는거 꼭 잊지마시구요!!

 

 

 

💰 실수령액은 얼마나 될까?

실제 통장에 들어오는 돈(실수령액)은 4대 보험 공제 후 약 190만~196만 원대로 예상됩니다.
개인의 보험료율, 가족 상황 등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날 수 있어요.

 

 

 

 

 

 

🤝 17년 만의 ‘노사 합의’로 결정된 시급

이번 2026년 최저임금은 단순한 금액 이상의 의미가 있습니다.

  • 17년 만에 노사 합의로 결정
  • 노동계와 경영계의 의견 차이가 컸지만, 최종적으로 접점을 찾아 합의
  • 고용노동부 최저임금위원회에서 확정

사회적 합의를 통해 도출된 만큼, 상징적인 의미도 크다고 할 수 있어요.

 

 

 

✔️ 업주 & 근로자를 위한 체크리스트

  • 시급 계약 시 반드시 10,320원 이상으로 계약!
  • 주휴수당 포함 여부 확인 (주 15시간 이상 근로 시 발생)
  • 월급제 vs 시급제 상관없이 동일한 기준 적용
  • 실수령액은 4대 보험 납부 여부에 따라 달라짐

 

 

🔍 어디서 확인하고,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?

📌 고용노동부 홈페이지: www.moel.go.kr

📞 근로자 권리상담: 1350 (고용노동부 상담센터)

🔎 노무사 상담: 최저임금 위반 의심 시 노동부 또는 노무사와 상담 가능

 

 

 

📝 마무리 정리

  • 2026년 최저임금: 시급 10,320원
  • 월급 환산액: 2,156,880원 (209시간 기준, 주휴수당 포함)
  • 인상률: 2.9%
  • 적용 대상: 전 근로자 동일 적용
  • 실수령 예상액: 약 190만~196만 원
  • 노사 합의로 결정된 상징적인 시급

 

 

 

 

내년 시급이 오르면서 많은 이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겠지만, 반대로 사업주 입장에서는 인건비 관리도 더 철저해져야겠죠.
근로자라면, 반드시 내가 받는 시급이 최저임금, 시급 기준을 지키고 있는지 꼭 확인하세요!

 

 

 

2026년 최저시급 최저임금

반응형